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2017년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직장에 다니는 직장인분들이라면 대부분 4대보험에 가입되어있으실겁니다. 4대보험에 가입하면 급여에서 4대보험에 대한 비용을 제하고 급여를 받게됩니다.



이 4대보험료도 만만치 않아서 월급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크지만 미래를 위한 대비책이니까 너무 아까워하지는 마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이 4대보험료는 급여액에 따라서 공제액의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2017년 4대보험 계산기 사용을 통해서 내가 내야하는 4대보험에 대한 공제액이 얼마인지 계산해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2017년 4대보험 계산기는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먼저 네이버와 같은 인터넷 검색포털에 "국민연금공단"을 검색해서 공식 사이트로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국민연금공단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스크롤바를 아래로 내려보시면 [알아보기]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거기 보시면 [4대보험 계산기]라고 보이실겁니다.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4대 보혐료 간편계신기 창이 뜨실겁니다. 

상단 탭에 보시면 연금보험료, 고용보험료, 국민건강보험, 산재보험료 이렇게 4가지를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계산도 신고소득월액과 같이 간단한 정보를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모의계산을 해보실 수가 있습니다.



신고소득월액을 200만원으로해서 연금보험료를 한번 계산해봤습니다. 위와 같이 계산결과가 나옵니다. 총액은 18만원이지만 근로자와 사용자가 반씩 부담해서 9만원만 부담하면 되네요




나머지 고용보험, 국민건강보험, 산재보험 등도 각각의 탭으로 이동해서 간단한 정보 입력 후에 계산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를 이용한 2017년 4대보험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내 급여에 따른 4대보험 공제액이 궁금하신분들은 한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