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연차수당 계산법으로 연차수당 계산기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계산해보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연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차는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5인 이상 사업장을 운영하는 곳에서 1년 동안 80%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휴가 15일을 부여해야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즉, 위 조건에 해당한다면 1년에 유급휴가를 15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1년 이상 근무하지 않은 근로자의 경우에는 1개월 개근시에 1일의 유급휴가를 지급해야하고 3년 이상 근무한 근로자는 2년마다 1일을 가산해서 유급휴가를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유급휴가를 미사용할 경우 연차수당을 지급받을 수 있는데요

오늘은 연차수당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 알려드릴 예정인데요

연차수당 계산법을 모르셔도 인터넷을 통해 간단한 방법으로 계산해보실 수가 있습니다.



연차수당 계산기는 glass wallet 이라는 사이트에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네이버 검색에 "유리지갑"을 검색하시면 위 사이트를 바로 찾으실 수가 있습니다. 사이트를 찾아 접속해주시기 바랍니다.



유리지갑 사이트에 들어간 모습입니다. 우측에 보시면 여러가지 메뉴가 보이는데요 [계산기] 카테고리에 보시면 [연차일수 계산기], [통상임금 계산기], [연차수당 계산기]가 보입니다.

여기서 [연차수당 계산기]를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위와 같은 계산기 페이지가 나옵니다. 여기서 입사일자와 사용한 연차수, 월기본급 등 양식에 맞게 본인조건에 맞게 기입하시면 자동으로 연차수당을 알아보실 수가 있습니다.




임의적으로 숫자를 넣어서 계산을 한번 해봤습니다. 제가 입력한 조건에서 계산해보니 남은 연차가 몇일인지와 함께 연차수당이 얼마인지 자동으로 계산해서 나오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런 방법으로 연차수당 계산법을 몰라도 쉽게 계산이 가능합니다.



이 밖에도 연차휴가 계산기도 있으니 연차가 몇 개나 있는지 궁금하신분들은 한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오늘은 연차수당 계산하는법으로 유리지갑이라는 사이트를 활용해서

연차수당을 계산해봤습니다. 연차일수나 연차수당이 궁금하신분들은 위 사이트를 한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