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오늘은 인터넷에 있는 연봉계산기를 이용해서 연봉 5000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취업준비생들이 가장 궁금한 것은 바로 입사할 회사의 연봉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하지만 연봉이라고해도 실제로 받는 급여가 아니기 때문에 실수령액이 가장 궁금하실텐데요 급여에서 4대보험이나 세금 등을 공제한 것이 실수령액이 됩니다.



오늘은 누구나 꿈꾸는 연봉 중 하나인 연봉 5000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더불어 연봉계산기 사용법도 알려드릴테니 기타 다른 연봉실수령액이 궁금하시다면 직접 계산해보시면 됩니다.



연봉계산기의 경우 다양한 취업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입니다. 제가 연봉 오천 실수령액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할 계산기는 사람인 연봉계산기 입니다.

네이버에 "사람인 연봉계산기"를 검색하시면 해당 사이트가 나오실겁니다.



그럼 위와 같은 사이트가 나오실겁니다.

희망연봉을 입력하고 퇴직금 포함여부 등 조건에 맞게 입력하시면

자동으로 실수령액을 계산해줍니다.

부양가족수나 20세 이하 자녀수, 비과세액에 따라서 달라지므로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위 양식에 맞게 모두 기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연봉 5000 실수령액을 알아보겠습니다.

연봉 5천에 부양가족은 본인 1명으로하고 20세 이하 자녀없고 비과세를 10만원으로 하고 계산한 결과 입니다. 연봉 5천 실수령액은 국민연금이나 건강보험, 소득세 등을 모두 제하면 대략 358만원정도 되는듯 합니다.

생각보다 높은 임금은 아니네요 정말 많이 떼가는듯 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연봉 3천, 연봉 2천 등 원하시는 연봉의 실수령액을

간단하게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모의계산이지만 조건만 정확히 입력하면 얼추 들어맞는듯 합니다.



이상으로 사람인 연봉계산기 사용법과 연봉 5000 실수령액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사람인의 경우 반응형 페이지로 모바일에도 최적화되어 있기 때문에 스마트폰으로도 쉽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