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생활팁으로 사대보험 계산기 이용법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이트를 통해 계산법을 몰라도 바로 계산해보실 수가 있습니다.
직장에 다니시는 직장인분들의 경우 누구나 매달 월급에서 4대보험 항목으로 일정한 금액이 공제되서 월급이 들어오게 됩니다.
이러한 4대보험은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 고용산재보험을 일컫는 말로 의무적으로 가입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사대보험 명목으로 빠져나가는 돈이 정확히 얼마인지 알고 있으신분들은 많지 않습니다. 물론 월급 세무 명세서를 살펴보면 구체적인 금액이 기재되어 있기는 합니다.
오늘은 사대보험 계산기를 통해 내가 한달에 4대보험에 얼마나 내는지 알아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굳이 월급명세서를 살펴보지 않아도 인터넷을 통해 간단하게 계산해보실 수 있습니다.
4대보험 계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셔야합니다. 네이버 검색창에 "국민연금"만 검색하셔도 해당 사이트가 바로 나오실겁니다.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에 들어가셔서 스크롤바를 내려보시면
우측에 [알아보기]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거기 보시면 [4대보험 계산기]가 있습니다. 눌러주시기 바랍니다.
그럼 사대보험 계산기 창이 새로 뜨실겁니다. 여기서 서두에 말씀드렸던 4대보험을 항목별로 계산해보실 수가 있습니다. 자신의 월소득금액 등 각 항목별로 자신에 맞게 기입하면 자동으로 계산을 해줍니다.
저는 국민연금 계산탭에서 신고소득월액이 300만원일때를 가정으로해서 계산해봤습니다. 부담액은 총 27만원으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씩 부담을 해서 13만5천원씩 부담하게 됩니다.ㅏ
이번에는 고용보험료 계산 탭으로 이동해서 계산해봤습니다. 고용보험에는 사업장의 근로자 수를 선택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자신의 회사의 근로자에 맞게 설정하고 신고소득월액을 적어서 [계산하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역시 300만원을 기준으로 계산해봤더니 위와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부담금은 4만6500원으로 근로자와 사업주가 반씩 부담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나머지도 계산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여기까지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에 있는 사대보험 계산기 이용법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해드렸습니다. 본인의 부담금이 궁금하신분들은 한번 이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위에서 보신바와 같이 간단한 정보 기입만으로 모의계산을 해보실 수 있습니다.